주식 투자로 수익을 올리고 싶은 분들을 위한 가이드
많은 주식 투자에 대한 투자자들의 고민! 기업의 가치를 알아보고 장기 주식 투자?아니면 여러가지 투자 기법을 통한 단기 주식 투자? 하지만 이러한 고민 이전에 주식 투자의 수익을 가져다 주는 기업은 기본적으로 좋은 기업이어야 할 것입니다. 아래에서 수 많은 주식 투자에 미치는 요소 중에 가장 기본적인 기업에 대한 제품과 사업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 SBI인베스트먼트의 자료는 전자공시시스템 2024.11.14 분기보고서를 참고 했습니다.
SBI인베스트먼트
사업의 개요
[설립 근거] 에스비아이인베스트먼트(주)는 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중소창업기업에 대한 투자 지원과 벤처투자조합의 결성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86년 11월 24일에 설립되었습니다.
[영업 개황] 당사는 창업자 및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벤처투자조합의 결성 및 업무의 집행, PEF의 설립 및 운용, 기업인수합병(M&A) 등의 사업을 영위하며, 전통 제조업은 물론 바이오 헬스케어, 엔터테인먼트 등 산업 전반에 걸쳐 고른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80개 이상의 펀드를 운용하며 성장초기 투자부터 메자닌 투자 및 M&A까지 단계별 투자를 집행, IT·헬스케어·미디어/콘텐츠·B2C 등 산업 전 분야에서 200개 이상 회사의 상장을 견인했습니다.
[영업의 현황]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3년간 벤처투자회사 수는 197개에서 246개로 24.9% 증가하였으나, 증가폭은 감소하고 있습니다(2020년부터 2022년까지 벤처투자회사 수 증가폭은 40%). 또한, 최근 3년간 신규 벤처펀드 결성액은 31.3% 감소하여, 벤처투자 시장의 어려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회사는 투자 효율을 높이고 펀드 성과 향상을 꾀함으로써 벤처투자 시장 내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2023년 말 기준 당사의 누적 운용자산 총액은 1조 1,911억원(Co-GP 안분)으로 업계 17위의 실적을 기록하였습니다. 당사의 영업수익은 주로 관계기업 투자이익(조합 지분법 손익)과 수수료 수익(조합운용 보수)으로 구성됩니다. 2023년 말 영업수익 대비 기준 관계기업 투자이익 및 수수료 수익의 비중은 7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운용 조합의 실적과 조합으로 부터 발생하는 수수료가 회사의 실적에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영업의 종류별 현황]
(1)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2)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3) 관계기업투자
(4) 기타영업수익
(주1) 현금 및 현금성자산 등 이자수익
(주2) 기타자산 처분이익
주식 투자 방법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러한 주식 투자에 필요한 기본적인 공시자료 중 그 일부만 가져온 내용도 양이 아주 방대합니다. 이 많은 내용중에 주식 투자자에게 필요한 정보만 알수 있다면 좋겠지만 주식 투자에 대한 경험과 주식 투자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저를 비롯해 대부분 많은 개인 투자자들에게는 정보에 대한 확신을 갖기까지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합니다.
그렇다하여 아무런 정보도 알아보지 않고 막연히 오를거 같다는 느낌만으로 소중한 돈을 아무렇게나 투자하면 손실을 볼 확률이 더 높습니다. 이러한 주식 투자 중 손실에 대한 확률을 줄이고 수익에 대한 확률을 높이는 방법이 전문가의 조언을 들어보거나, 근거가 있는 투자기법에 대해 공부하고 연구하는 것입니다.
요즘에는 그러한 주식 투자에 대한 정보를 무료로 운영하는 유튜브나 매체들이 많이 있으니 참고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투자에 대한 결정은 본인이 하는 것이니 이러한 매체를 적극 활용해서 이렇게도 할 수 있겠구나, 이런 정보도 있구나 하는 정도의 활용은 수익을 올리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영업의 현황
(1) 영업 개황
에스비아이인베스트먼트(주)는 1986년 11월 설립된 국내 벤처투자회사로서, 벤처투자촉진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중소 창업기업에 대한 투자지원과 벤처투자조합의 결성ㆍ운영 및 M&A를 주된 사업으로 투자자산의 대부분을 벤처기업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당사 포트폴리오의 산업별 구성은 기존 IT 업종 위주의 투자에서 생명공학, 환경, 엔터테인먼트 등의 업종으로 투자가 다양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1) 1999년에는 코스닥시장 및 장외거래시장의 활성화와 정부의 적극적인 벤처산업지원 정책에 힘입어 핸디소프트 등 4개 투자기업의 코스닥 상장과 Silicon Image의 나스닥 상장으로 436억원의 순이익을 시현하였습니다.
2) 2000년에는 마크로젠 등 6개 투자기업의 상장을 통하여 창립 이래 최대인 733억원의 순이익을 창출하여 전체 코스닥기업 중 대기업인 은행, 카드사 및 통신서비스사 3사를 제외하고는 최고의 순이익 규모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3) 2001년에는 한국미생물연구소, 에코솔루션 등을 상장시킨 바 있으며, 다산인터넷, 마크로젠, 피코소프트 등의 주식매각에 따른 투자수익 및 조합수익 등으로 340억원의 영업수익을 시현하였습니다.
4) 2002년에는 한빛소프트, 고려신용정보, ICM, CMS, 보이스웨어, 옴니텔, 콤텔시스템, NHN 등이 상장되어 투자수익 및 조합수익 등으로 387억원의 영업수익을 시현하였습니다.
5) 2003년에는 에이스디지텍, SJ윈텍, 아모텍, 오텍 등이 상장되어 투자수익 및 조합수익 등으로 310억원의 영업수익을 시현하였습니다.
6) 2004년에는 메가스터디, 스포츠서울, 엠텍비젼 등이 상장되어 투자수익 및 조합수익 등으로 178억원의 영업수익을 시현하였습니다.
7) 2005년에는 정부의 벤처활성화 대책 이후 증시와 경제 전반의 회복세가 점차 나아지면서 EMLSI, ADP엔지니어링, MAT, 쏠리테크, 우리ETI, SSCP 등이 상장되어 투자수익 및 조합수익 등으로 363억원을 영업수익을 시현하였습니다.
8) 2006년에는 주식시장의 악화와 전반적인 IT 업계의 불황에도 불구하고 영업수익 275억원과 순이익 100억원을 시현하였습니다.
9) 2007년에는 700억원 규모의 제2호 과학기술사모투자전문회사를 결성하여 현재 운용 중이며, 하반기부터 이어진 코스닥시장의 약세에 따라 벤처캐피탈의 실적이 대부분 부진하였던 상황에도 불구하고 영업수익 542억원과 순이익 208억원을 시현하며 3년 연속 흑자경영을 달성하였습니다.
10) 2008년에는 국내 벤처캐피털 최초로 3억달러 규모의 중동 국부펀드 운용회사로선정되어, 중동의 풍부한 자금력과 국내의 기술력 간 상호 시너지를 극대화시켜 궁극적으로 국내 선도 벤처기업들의 제품다변화 및 시장다각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단, 하반기에 시작된 글로벌 신용경색과 이로 인한 국내 주식시장의 침체로 인하여 영업수익 222억원과 순이익 -138억원을 기록하며 적자로 전환하였습니다.
11) 2009년에는 투자자산의 대규모 손상차손 인식 등으로 인하여 영업수익 341억원과 순손실 857억원을 기록하며 적자규모가 확대되었습니다.
12) 2010년에는 자산건전성의 확보 및 재무구조 개선을 통한 영업비용의 감소로 인하여 적자규모가 축소되었습니다.
13) 2011년에는 자산건전성 제고 및 부채 상환을 통한 금융자산 손상차손, 이자비용 등 영업비용의 대폭 감소로 약 48억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며 흑자전환에 성공하였습니다.
14) 2012년에는 단기매매증권평가손실 증가 및 과거 투자자산의 대규모 손상차손에 따라 적자 전환 하였습니다.
15) 2013년에는 단기매매증권의 처분/평가이익의 증가 및 소송승소에 따른 손해배상손실충당부채의 환입으로 인하여 흑자 전환에 성공하였습니다.
16) 2014년에도 연결기준 17억원, 별도기준 29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여 흑자 기조를 유지하였습니다. 특히, 2014년에는 총 5개, 약 2천억원 규모의 신규 펀드를 결성하여 펀드관리보수로 고정비를 커버하는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확립하였습니다.
17) 2015년에는 연결기준 12억원, 별도기준 22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둬 3년 연속 흑자를 달성하였습니다.
18) 2016년에는 연결기준 29억, 별도기준 17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였습니다.특히 2016년 한해만 2,300억원 규모의 신규 펀드를 결성하여, 총 운용자산 규모는 8,222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19) 2017년에는 연결기준 25억원, 별도기준 2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하여 5년 연속 흑자를 달성하였습니다. 2017년 신규 결성펀드 총액은 1,486억원으로 총 운용자산 규모는 9,938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20) 2018년에는 개별기준 26억원의 당기순이익이 발생하였습니다. 2018년 신규 결성펀드 총액은 942억원으로 총 운용자산 규모는 1조20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21) 2019년에는 개별기준 114억원의 당기순이익이 발생하였습니다. 2019년 신규 결성펀드 총액은 1,813억원으로 총 운용자산 규모는 1조1,297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22) 2020년에는 개별기준 139억원의 당기순이익이 발생하였습니다. 2020년 말 기준 총 운용자산 규모는 1조 2,878억원이며, 2020년 한 해 동안 신규 결성한 펀드의 총액은 1,581억원 입니다.
23) 2021년에는 개별기준 약 222억원의 당기순이익이 발생하였습니다. 2021년 말 기준 당사가 운용하는 자산 규모는 Co-GP 금액을 모두 포함하여 총 1조 1,281억원이며, 2021년 한 해 동안 신규 결성한 펀드의 총액은703억원 입니다.
24) 2022년에는 투자자산 평가손실 등이 증가하여, 개별기준 약 150억원의 당기순손실이 발생하였습니다. 2022년 말 기준 당사가 운용하는 자산 규모는 Co-GP 금액을 모두 포함하여 총 1조 3,184억원이며, 2022년 한 해 동안 신규 결성한 펀드의 총액은2,059억원 입니다.
25) 2023년에는 개별기준 누적 약 83억원의 당기순이익이 발생하였습니다. 2023년 말 기준 당사가 운용하는 자산 규모는 Co-GP 금액을 모두 포함하여 총 1조 3,535억원입니다.
26) 2024년 3분기에는 개별기준 약 76억원의 당기순이익이 발생하여습니다.
(2) 취급 업무 및 상품ㆍ서비스의 개요
① 벤처투자(VC)
ⅰ) 벤처펀드의 결성 및 운영
ⅱ)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ⅲ) 경영, 마케팅, 자금 및 기업공개 지원 등을 통한 지속적인 Value-Up 서비스 제공
ⅳ) 투자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지원
ⅴ) 해외자본 유치 및 첨단기술 확보를 위한 해외투자
② PEF의 설립 및 운용
③ 기업인수합병(M&A)
④ SPAC의 설립 및 운용
(3) 시장점유율 등
- 최근 3년간 벤처투자회사의 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출처 : 벤처캐피탈협회
- 최근 3년간 벤처펀드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출처 : 중소벤처기업부
(4) 조직도('24.09.30)
![]() |
SBI인베스트먼트 조직도 |
2. 영업의 현황
3. 영업의 종류별 현황
(1)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2)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3) 관계기업투자
(4) 기타영업수익
(주1) 현금 및 현금성자산 등 이자수익
(주2) 기타자산 처분이익
※ 아래에서 주식 투자를 위해 만드실 계좌에 입금된 자금에까지 약정 수익을 받을 수 있는 계좌에 대한 정보도 있으니 확인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마치며
이상으로 SBI인베스트먼트 기업 및 사업 소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워렌 버핏은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지성이 아닌 기질"이라고 말했습니다. 빠르고 현명한 판단으로 주식 투자에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이 글을 읽는 모든 분들이 주식 투자 지식과 노하우를 통해 꼭 성공적인 투자자가 되시길 기원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