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기업 및 사업 소개

주식 투자로 수익을 올리고 싶은 분들을 위한 가이드

많은 주식 투자에 대한 투자자들의 고민! 기업의 가치를 알아보고 장기 주식 투자?아니면 여러가지 투자 기법을 통한 단기 주식 투자? 하지만 이러한 고민 이전에 주식 투자의 수익을 가져다 주는 기업은 기본적으로 좋은 기업이어야 할 것입니다. 아래에서 수 많은 주식 투자에 미치는 요소 중에 가장 기본적인 기업에 대한 제품과 사업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 셀트리온의 자료는 전자공시시스템 2024.11.14 분기보고서를 참고 했습니다.

셀트리온 사업의 개요

  주식 실시간 시세 확인하기  

당사는 생명공학기술 및 동물세포대량배양기술을 기반으로 종양 및 자가면역질환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항체의약품을 개발, 생산하는 것을 주요 목적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바이오시밀러 사업의 성장성을 예견하고 준비해 왔으며, 그 결과 유럽의약품청(European Medicines Agency, EMA)과 미국 식품의약국(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으로부터 세계 최초 바이오시밀러 제품인 램시마(CT-P13)의 품목허가를 획득했습니다. 이후, 트룩시마(CT-P10), 허쥬마(CT-P6), 유플라이마(CT-P17), 램시마SC(CT-P13 SC), 베그젤마(CT-P16) 등 다양한 제품의 품목허가를 획득하였으며, 당사의 바이오시밀러 제품들은 현재 전 세계 110여 개국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특히, 주요 바이오/제약 시장인 유럽을 중심으로 높은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미국 시장에서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외에도 시장성과 성장성이 있는 다양한 후속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면서 바이오시밀러 산업의 선도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4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24,937억원을 기록하였으며, 영업이익은 2,956억원으로 약 11.9%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하였습니다. 당사는 개발 중인 바이오시밀러 제품들에 대해 세계 시장 출시 및 판매를 위해 전세계 시장을 미국, 유럽 등 선진국 시장과 아시아, 중남미 등 기타 권역으로 나누어 직접/간접 판매 네트워크 구축을 완료하여 시장 선점을 위한 기반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그 동안 축적하여온 후보물질 개발 및 선별 기술, 세포주 개발 및 공정 개발 기술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항체의약품 신약을 자체 또는 공동 개발하고 있습니다. 2023년 10월 21일, 세계 최초 인플릭시맙(Infliximab) 성분의 피하주사 제형인 짐펜트라(CT-P13 SC 미국 브랜드명)의 미국 품목허가를 획득하였습니다. 짐펜트라는 미국 FDA로부터 제형의 차별성을 인정받아 신약 허가 프로세스 진행을 권고 받았으며, 이는 당사가 미국 FDA로부터 획득한 최초의 신약 허가입니다. 또한, 2020년 초 글로벌 팬데믹을 야기한 코로나19의 항체치료제 렉키로나(CT-P59)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항체의약품 신약 개발 역량까지 보유한 종합생명공학 기업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렉키로나는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와 유럽연합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 EC)로부터 정식 품목허가를 획득하였으며, 팬데믹 상황 속 국내 및 유럽 코로나19 환자들에게 처방되어 위중증 환자 발생률을 감소시키고 의료현장의 부담완화에 기여하였습니다. 이외에도 당사는 글로벌 선진 바이오텍 기업들과 전략적인 제휴 및 투자를 통해 차세대 항체의약품 신약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항체의약품 사업 외에도 케미컬의약품의 개발, 판매 사업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항체의약품 연구개발 및 글로벌 임상, 허가 등을 통해 축적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빠른 속도로 케미컬의약품 사업의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HIV 치료를 위한 3성분 복합제 개량신약 CT-G07은 2020년 4월 FDA로부터 잠정 승인을 받았으며, 2023년에는 국제조달 최대 공급사인 Global Fund와 HIV 포트폴리오 2제품의 장기공급에 대한 재계약을 완료하였습니다. 알츠하이머 치료제 도네페질 패치제인 도네리온패취는 2021년 11월 식약처 품목허가를 획득하며 세계 최초 도네페질 패치제 지위를 확보하였습니다. 또한, 2023년 10월, 코로나19 치료제 CT-G29는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로부터 승인을 득하였습니다. 이외에도 비후성심근증 신약 CT-G20 등 다양한 케미컬의약품의 임상 및 개발을 완료하여 향후 세계 시장에서 당사 케미컬의약품 경쟁력을 높여 나갈 계획입니다. 자체적인 R&D 역량과 인수한 물질 특허를 기반으로 서방성 제형, 복합제 등의 개량신약 개발에도 박차를 가해 확장된 제품 포트폴리오를 완성할 계획입니다.

인천 송도에 위치한 항체의약품 생산공장은 아시아 최초 동물세포 배양 설비로, 미국 FDA의 cGMP 인증과 과 유럽 EMA의 eu-GMP 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당사는 원료의약품부터 완제의약품까지 생산 가능한 자체 생산설비인 1공장 100,000L, 2공장 90,000L, 그리고 해외 소재의 CMO 업체를 활용하여 연간 총 270,000L의 생산 capacity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한편, 항체의약품에 대한 글로벌 수요 확대와 당사 제품 포트폴리오 다양화에 따라 2020년 11월 다품종 생산 및 공급 체계 구축을 위해 60,000L 규모의 3공장 신축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2023년 11월 3공장 준공을 완료하였으며, 3공장 완공으로 인하여 기존 1,2공장의 190,000L에 더해 연간 생산량 250,000L의 자체 생산 설비를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2023년 9월 연간 약 800만개의 액상 바이알 생산이 가능한 신규 DP공장 증설 착수했습니다. DP생산의 내재화 비율을 늘려 매출 증대에 따른 제품 공급 안정성과 원가 절감효과를 빠르게 높여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외에도 지속적인 수요 확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량 생산을 위한 설비 투자 및 해외 CMO 거점 확보, 해외 공장 건설 등을 검토 및 추진하고 있으며, 세계 시장으로의 제품 공급 안정성을 제고해 나갈 계획입니다. 2024년 9월, 당사는 CDMO 사업 역량 강화 및 규모 확대 계획을 발표하였으며, CDMO 사업 목적의 자회사 출자를 통한 신규 공장 확보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3년 12월 28일, 당사로부터 바이오의약품을 공급받아 세계 각국에 독점 판매하던 계열회사 (주)셀트리온헬스케어를 흡수합병하였습니다. 이로써 당사는 개발부터 생산, 판매까지 일원화된 기업 구조를 구축하며 Global Big Pharma로 성장하기 위한 발판을 다지게 되었습니다. 피합병법인은 다년간의 글로벌 상업화 경험을 보유한 마케팅 및 판매 전문 기업으로, Pfizer, Teva 등 우수한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탄탄한 파트너십에 기반하여 현지 시장에 대한 전문성과 자원을 축적해왔습니다. 또한,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유지하면서도 차별화된 마케팅 노하우와 유통 경험을 바탕으로 유럽, 아시아, 중남미 등에서 직접판매 체제를 구축하여 유통 효율을 개선한 바 있습니다. 유럽에서는 2020년 램시마 직접판매를 시작으로, 2022년 하반기부터 트룩시마, 허쥬마도 직접판매를 시작하며 유럽 시장에서 전 제품에 대한 판매 방식을 직접판매로 전환하였고, 2023년에는 글로벌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 시장에서의 판매 구조 역시 직접판매 형태로 전환하였습니다. 당사가 보유한 바이오시밀러 제품 경쟁력에 판매 노하우, 탄탄한 현지 판매망 및 자원이 더해지며 전략적인 시너지를 창출하고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에서 더욱 강력한 입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셀트리온 주요 제품 및 서비스

가. 주요 제품 등의 현황(연결 기준)

주요 제품 등의 현황(연결기준)

나.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당사는 직접판매 채널의 경우 시장 상황에 따라 공급 가격을 조정하는 한편 유통사를 통한 간접판매의 경우 유통사와의 계약에 따라 제품의 국가별 시장 가격, 각종 공제항목 및 파트너사 마진을 고려하여 제품 가격을 산정하고 있으며, 시장 상황 및 파트너사와의 계약에 따라 공급 가격을 조정하고 있습니다.

주식 투자 방법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러한 주식 투자에 필요한 기본적인 공시자료 중 그 일부만 가져온 내용도 양이 아주 방대합니다. 이 많은 내용중에 주식 투자자에게 필요한 정보만 알수 있다면 좋겠지만 주식 투자에 대한 경험과 주식 투자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저를 비롯해 대부분 많은 개인 투자자들에게는 정보에 대한 확신을 갖기까지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합니다.

그렇다하여 아무런 정보도 알아보지 않고 막연히 오를거 같다는 느낌만으로 소중한 돈을 아무렇게나 투자하면 손실을 볼 확률이 더 높습니다. 이러한 주식 투자 중 손실에 대한 확률을 줄이고 수익에 대한 확률을 높이는 방법전문가의 조언을 들어보거나, 근거가 있는 투자기법에 대해 공부하고 연구하는 것입니다.

요즘에는 그러한 주식 투자에 대한 정보를 무료로 운영하는 유튜브나 매체들이 많이 있으니 참고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투자에 대한 결정은 본인이 하는 것이니 이러한 매체를 적극 활용해서 이렇게도 할 수 있겠구나, 이런 정보도 있구나 하는 정도의 활용은 수익을 올리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주식시장 최신 동향과 인기주

셀트리온 원재료 및 생산설비

가.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연결 기준)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연결 기준)

- 당사 의약품 제조에 사용되는 원재료 등은 사업의 특성상 매입처에서 주문생산 방식으로 조달하고 있으며, 계약 당사자 간의 상호 협의를 통해 가격을 조정하고 있어 가격변동 추이는 별도로 산정하지 않았습니다.

- 주요 매입처의 경우 경쟁상황 및 상호 계약내용에 따라 기재하지 않습니다.

나. 생산능력 및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1) 생산능력

생산능력

(2)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1) 산출기준 (1공장 기준)

- 작업일수: 330일 (설비 유지보수 기간 35일 제외)

- 성공율: 81% (작업자 실수 및 설비 오류에 따른 실패율 반영)

- 생산주기: 2일

- 바이오리액터의 수: 8기

- 연간 동일제품 생산 가정

2) 산출방법 (1공장 기준)

- 연간 총 생산능력

: 작업일수 (330일)/생산주기 (2일) x 성공율 (81%) = 133배치

- 바이오리액터당 연간 생산능력

: [작업일수 (330일)/생산주기 (2일)] / 8기 x 성공율 (81%) = 16.7배치

- 생산능력은 상업생산 단계에서 생산 가능한 최대 생산주기를 기준으로 산출하였으며, 실제 생산능력은 각 배치별 생산시간 간격, 성공률, 생산제품의 수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동 될 수 있습니다.

3) 2공장은 보다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도록 계획된 2공장의 사정에 맞추어 제품 change-over의 영향을 추가로 반영하여 산출하였습니다.

다. 생산설비의 현황 (연결 기준)

생산설비의 현황(연결 기준)

(*) 연결기업은 단기리스 및 소액자산 리스에 대하여 인식면제 규정을 적용하였으며 당분기 중 단기리스에 따른 리스료 2,445백만원(전분기: 618백만원), 소액자산리스에 따른 리스료 412백만원(전분기: 227백만원)을 비용으로 인식하였습니다. 한편 당분기 중 리스의 총 현금유출은 10,632백만원 (전분기: 3,353백만원)이며, 상기 리스이용자의 사용권자산 전대리스와 관련하여 당분기 중 인식한 리스료 수익은 7백만원(전분기: 2백만원)입니다. 또한 당분기 중 리스부채와 관련된 이자비용은 890백만원(전분기: 131백만원)입니다.

※ 아래에서 주식 투자를 위해 만드실 계좌에 입금된 자금에까지 약정 수익을 받을 수 있는 계좌에 대한 정보도 있으니 확인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약정 수익받는 주식계좌 개설  

마치며

이상으로 셀트리온 기업 및 사업 소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워렌 버핏은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지성이 아닌 기질"이라고 말했습니다. 빠르고 현명한 판단으로 주식 투자에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이 글을 읽는 모든 분들이 주식 투자 지식과 노하우를 통해 꼭 성공적인 투자자가 되시길 기원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이전
.center { text-align: center; content: 0px 1000px; }